Biennale Reader

2024 4th JEJU BIENNALE

본문

“표류는 제주가 중심이 돼 문명사를 들여다보는 장치”

[INTERVIEW] 이종후4제주비엔날레 총감독




, 제주도. 여기에 살던 사람들은 배를 다루는 능력이 탁월했다. 배를 잘 짓고, 잘 운영한 이들이었다. <고려사><조선왕조실록>은 제주사람들의 그런 점을 입증해주고 있다.

 그건 섬이라는 곳에 사는 사람들의 숙명이었을지도 모른다. 대신 그들은 죽음과 맞서 싸워야 했다. 배를 아무리 잘 만들더라도 높은 파도와 바람을 이기는 건 어렵다. 죽기도 하고, 부서진 배에 실려 바다 위를 떠돌기도 한다. 제주사람만 그랬을까? 아니다. 바다 위를 이동하는 모든 이들이 그랬다. 제주를 빠져나간 이들도 표류를 하고, 다른 지역의 사람들도 표류해서 제주 땅을 밟기도 했다.

표류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오가는 극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표류 이면엔 놀라운 점이 있다. 바로 표류는 서로 다른 지역끼리의 이동을 불렀고, 문화교류를 강제한 도구였다. 4제주비엔날레(20241126~ 2025216)가 그걸 놓치지 않았다. 제주비엔날레는아파기 표류기’라는 주제를 담았고, 표류를 문화로서 이해하는 기회를 만들려고 한다.

아파기는 역사서에 한차례 등장한다. <일본서기>에 탐라 왕자 아파기의 존재를 확인해주는 기록이 있다. <일본서기>는 다음처럼 기록하고 있다.



16c4b2294ee0321e39b18e5960059401_1727488675_7472.jpg 

사진출처미디어제주



“탐라가 처음으로 왕자 아파기 등을 보내 공물을 바쳤다(耽羅始遣王子阿波伎等貢獻).”
- (일본서기 권 26 天豐財重日足姬天皇 齊明天皇 661523)

왜 아파기는 일본으로 가야 했나? 이유는 다른 데 있지 않다. 당나라로 갔던 일본 사신단이 돌아가던 길에 표류하게 되고, 탐라에 도착하면서 일은 일어난다. 일본 사신단 일행은 89일을 해상에서 떠돌다가 탐라에 안착하고, 아파기 일행을 만난다. 아파기는 일본 사신단을 따라서 일본으로 향했다. 표류가 문화교류였음을 역사가 보여주는 장면이다.

제주비엔날레가표류’를 키워드로 제시한 점은 신선하다. 그러나 제주비엔날레가 가야할 길엔 큰 산이 버티고 있다. 다른 비엔날레처럼 영속적으로 진행하려면 별도 기구가 필요할 텐데, 지금은 그런 구조가 되지 못한다.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제주비엔날레 총감독을 맡은 이종후 제주도립미술관장을 만났다.  

원문
출처 : 미디어 제주 김형훈 기자

https://www.mediajeju.com/news/articleView.html?idxno=353675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894-78
    2894-78, 1100-ro, Jeju Cit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Korea

    Tel. 064-710-4300
    Fax. 064-710-4269
    Info@jejubiennale.org

ⓒ 2024 Jeju Biennale - All website contents are copyright protected